아이의 행동 문제는 단순히 아이만의 문제가 아닐 수 있습니다.
가정의 분위기, 부모의 양육 태도, 가족 간의 감정 표현 방식이 모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리 검사는 아이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도구이자, 가족 문제를 함께 점검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오늘은 아동 행동 검사 5가지를 중심으로, 각 검사가 가족 상담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아동 행동평가척도 (CBCL)
📌 사례: “형은 너무 공격적이에요. 동생이 자꾸 울어요.”
상황: 초등학교 4학년 형제가 자주 싸우고, 큰아이는 자주 화를 내며 부모의 말을 무시함.
검사 결과: 공격성, 반항적 행동 척도 높음. 불안/우울 수치도 중간 이상.
CBCL은 행동 특성을 객관적인 수치로 분석해 주는 검사로, 부모나 교사가 아이의 행동을 체크합니다.
부모는 아이가 문제없다고 느낄 수 있지만, 검사 결과를 통해 실제 정서적 어려움이나 행동 특성을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가족 상담에서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를 점검하고, 형제 관계 속 갈등 패턴을 분석하여 상담의 방향을 잡습니다.
→ 상담 목표: 일관된 양육 태도 확립, 형제 갈등 조율
집-나무-사람 그림검사 (KHTP)
📌 사례: “아이는 말이 없고, 항상 혼자 놀아요.”
상황: 6세 여아가 유치원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않고 말도 적음.
검사 결과: 본인은 고립된 위치에 크게 그려지고, 가족은 작게 멀리 표현됨.
KHTP는 아이가 가족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를 그림으로 표현하게 합니다.
창문 없는 집, 흔들리는 나무, 작고 멀리 있는 사람은 아이의 불안, 거리감, 정서적 고립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상담에서는 아이의 그림을 부모에게 설명하고, 아이가 느끼는 가족 내 정서를 함께 이해하며 감정 표현의 기회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접근합니다.
→ 상담 목표: 부모-자녀 간 애착 회복, 정서적 유대 강화
문장완성검사 (SCT)
📌 사례: “아이의 성적이 떨어지고, 의욕이 없어요.”
상황: 중학생 자녀가 무기력하고 대화가 줄어듦.
검사 응답: “우리 가족은 나를 이해하지 않는다”, “나는 혼자가 편하다.”
SCT는 아이가 문장을 완성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검사입니다.
아이의 진심을 간접적으로 들을 수 있는 도구이며, 정서적 소외감이나 가족에 대한 불만이 문장에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가족 상담에서는 이런 감정을 부모와 함께 공유하고, 감정적 소통이 단절된 이유를 점검하며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 상담 목표: 정서적 소통 회복, 가족 간 공감 능력 향상
사회적 상황 테스트 (SST)
📌 사례: “친구 관계가 안 좋아요. 자꾸 따돌림당하는 것 같아요.”
상황: 초등학생 자녀가 친구들과 자주 충돌하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음.
검사 반응: “나를 놀리면 나도 욕을 한다”, “그냥 안 놀면 돼요.”
SST는 특정 상황에 대해 아이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관찰하는 검사로, 실제 생활에서의 대처 방식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반응은 가정 내 갈등 해결 방식이 외부에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며, 상담에서는 부모의 대응 방식을 함께 점검합니다.
→ 상담 목표: 건강한 감정 표현 모델 제공, 사회성 향상
행동 관찰 체크리스트 (BASC, TRF 등)
📌 사례: “선생님 말씀이 집에서는 얌전한데 학교에서만 문제를 일으킨대요.”
상황: 부모는 아이가 얌전하다고 생각하지만, 학교에서는 산만하고 충동적이라는 평가.
검사 결과: 가정과 학교에서 상반된 행동 패턴 확인됨.
이런 이중적인 행동은 아이가 감정을 억누르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는 억제되고 학교에서는 분출되는 경우, 아이는 정서적으로 지쳐 있을 수 있습니다.
가족 상담에서는 정서 표현의 자유도, 감정 경청 환경 등을 점검하고 개선합니다.
→ 상담 목표: 부모의 감정 허용 및 공감 훈련, 일관된 환경 제공
요약정리:
CBCL | 수치로 문제 행동을 분석 → 양육 방식과 감정 조절 문제 진단 |
KHTP | 그림을 통해 정서적 거리, 가족 관계 해석 |
SCT | 문장 속 감정 표현 → 가족 인식과 정서 소통 수준 확인 |
SST | 상황 반응 분석 → 가정에서의 갈등 대처 모델 확인 |
BASC / TRF | 환경별 행동 차이 → 부모의 인식 차이 및 정서 피로도 진단 |
아이의 문제 행동은 대부분 단순한 버릇이나 성격 문제가 아닙니다.
그 안에는 감정, 관계, 가족이라는 환경이 함께 작용하고 있습니다.
심리 검사는 아이의 마음을 비추는 창이며, 가족 상담은 그 창을 열고 함께 회복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심리검사를 통해 아이를 이해하고, 가족이 함께 변화를 시작해 보세요.